냉이는 십자화과에 속하는 월년초로서 전국적으로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나시, 나이, 나싱이, 나생이
등의 별명을 갖고 있고 다닥냉이, 말냉이, 싸리냉이, 황새냉이, 큰황새냉이, 논냉이, 미나리냉이, 나도냉이, 개갓냉이 등 유사종이 있다. 냉이는
키가 10~50cm 정도 자라며 전체에 털이 나있고 가지를 많이 친다. 뿌리는 흰색으로 10~50cm정도로 곧게 뻗어 내려간다. 잎은
16~28매 정도되며 새털모양으로 땅 표면에 퍼져있고 줄기에서 나오는 잎은 마주나기하며 위쪽으로 올라갈수록 작아지고 엽병이 없다. 꽃대는
5~6월 사이에 나오며 꽃대 끝에서 흰색의 꽃이 핀다. 꽃받침은 4개로 긴타원형이고 길이는 1㎜ 정도되며 꽃은 4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로 되어
있다. 열매는 평평한 삼각형이고 길이는 6~7㎜, 넓이는 5~6㎜ 정도 된다. 열매꼬투리속에는 20~40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주요성분 및
용도 냉이는 비타민
A와 C 그리고 식이섬유가 많이 함유되어 있는 우수한 식품일 뿐만 아니라 이세틸콜린, 콜린 등 많은 특수성분이 있어 약리효도 높다.
요리법은 다양하나 주로 무침, 냉이국 등으로 이용하며 건강주로 담가 먹기고 하는데 냉이와 소주 흑설탕을 3:5:1로 하여 1개월 이상
숙성시킨 후 마시며, 녹즙재료로도 이용되고 있다. 생약명으로는 제채(薺菜)라고 하여 전초를 달여 위궤양, 치질, 폐결핵에 사용하며 혈압강하,
지사제, 건위소화제, 지혈제, 자궁출혈 및 월경과다 치료제로도 이용한다. 이외에도 눈을 밝게하고 시력을 보호하는 효능도 있어 말린 냉이를
가루내어 먹거나 눈이 붓고 침침할 때 냉이 뿌리를 찧어 만든 즙을 안약 대용으로 이용하여
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