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채는 1960년도 이전까지는 채소라기 보다는 보릿고개를 넘기기 위한 구황식물로서 이용되어 왔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그후 1970년대
들어 경제가 발전하면서 대부분의 산채는 우리의 식탁에서 멀어져 갔다. 그러나 1980년대 후반에 들어 생활수준이 높아지면서 향수식품으로 산채의
수요는 되살아났다. 그러나 자연산 채취에 의존하였던 1960년대와는 달리 자원고갈에 의한 자연산 채취량 감소로 최근에는 재배면적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
최근에 산채의 수요가 급격히 늘어가고 이에 따라 재배면적도 늘어가고 있는 요인이
무엇인가를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앞에서도 지적하였지만 산채를 포함한 모든 농산물이 이제는 양보다는 질이 우선하고 수요에 의해
공급이 결정되는 상품으로 보아야 하기 때문에 수요의 증가 원인은 소비자의 입장에서 그리고 재배의 증가원인은 공급자인 생산농가의 입장에서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
|
최근 산채소비의 증가 원인
|
소비자의 입장에서 본 수요의 증가 원인은 크게 여섯가지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첫째, 산채는 저공해 식품이라는 점이다. 우리는 요즈음 모든 공해에 관한 한 심각한 과민반응상태에 있다. 오염된 물, 토양,
공기와 그러한 땅에 뿌리를 내리고 재배된 농작물에 농약까지 치면서 생산되는 식품을 먹어야 되는 우리에게 오염되지 않은 물과 토양 그리고 공기에서
농약없이 생육되거나 재배된 산채야말로 아주 바람직한 청정채소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산채는 사람의 몸에 아주좋은 건강식품으로써
가치가 매우 높다는 점이다. 우리가 재배하는 대부분의 작물은 수천년간 인간에게 유리한 쪽으로 개량해오는 과정에서 식물쪽에서 보면 기형으로 변하게
되었고 또한 인간의 보호아래 자랄 수 있었기 때문에 자기보호 능력을 상실하게 될 수밖에 없었다. 이렇게 형태적인 변화를 가져오면서 식물체내의
성분도 어느 한쪽으로만 치우치게 되었고 자기 보호를 위해 갖고있던 특수성분도 상실하는 등 내적으로도 기형으로 변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산채는
아직 야생의 고유특성 및 성분을 원형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관계로 각종 영양성분을 고루 갖추고 있으며 특히 자기보호를 위해 지니고 있는
특수성분은 여러 가지 기능성을 갖고 있어 약리효과가 높아 건강식품으로써 가치가 매우 높다는 것을 소비자들은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취나물을
비롯한 많은 산채가 간암, 유방암, 폐암 등의 암에 항암효과가 높은 것으로 속속 밝혀지고 있고 산채에 많이 함유되여 있는 섬유질이나 엽록소 등은
건강유지에 매우 효과적이라는 많은 연구 결과들이 발표되고 있어 바로 이 점이 산채가 소비자들로부터 커다란 인기를 얻고있는 원인이 되고 있다.
셋째, 소비자들이 식품에 대한 인식이 전환되고 있다는 점이다. 중국의 고의서인 황제내경(皇帝內經)에서는 식품의 가치를 다음과
같이 요약하고 있다. 『오곡(五穀)은 오장육부(五臟六腑)를 영양하며, 오과(五果)는 이를 돕고, 오채(五菜)는 그 작용을 보하고 오축(五畜)은
그 힘을 더한다』고 하므로써 곡류와 과채류 그리고 고기를 고루 섭취하여야 되는 이유를 밝히고 있다. 그러나 우리의 지난 시절 식생활 문화는 이럴
수가 없었다. 보릿고개가 그리도 높기만 했던 때에 우리에겐 곡류도 과일도 풍족할 리 없었고 더욱이 고기는 1년중 명절에나 겨우 맛을 볼 정도였던
것이다. 그때 산채를 비롯한 채소류가 굶주린 배를 채워주는 역할을 했던 기억을 우리는 잊을 수가 없을 것이다. 그후 녹색 혁명과 경제 발전에
힘입어 주곡이 자급되고 육류의 소비가 늘어나는 등 가난의 한을씻으며 풍요를 누리는 동안 서서히 늘어나기 시작한 각종 성인병은 식품의 가치를 다시
생각하게 하였고 잊혀졌던 산채는 이제 건강식품으로 다시 우리에게 절실히 다가오고 있으며 바로 이러한 점이 소비자로 하여금 산채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는 가장 주된 이유라고 할 수있을 것이다.
|
|
표) 주요 산채류의 엽록소 및 식이섬유 함량 (1993.산채시험장)
(mg/100g) |
구 분 |
참나물 |
곰취 |
고들빼기 |
두릅 |
냉이 |
더덕 |
고사리 |
엽 록 소
식이 섬유 |
290
35.8 |
222
46.7 |
234
42.0 |
124
42.5 |
262
10.8 |
-
54.5 |
35
45.8 |
|
|
넷째는 산채가 육체적 건강유지를 위한 식품으로써 뿐만 아니라 정신적 건강 유지 효과도
매우 크다는 점이다. 1994년도에 산채시험장과 농수산물유통공사가 공동으로 미국의 교포를 대상으로 산채의 수출시장 조사를 한 결과, 교포
1세대들로부터 상당히 좋은 호응을 얻는 고무적인 결과를 얻은 적이 있다. 그 이유는 매우 간단하다. 고국의 향취와 고향의 추억을 산채를 통해
맛볼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는 교포들에 국한된 이야기만은 아니다. 우리의 사회가 급격히 산업화 사회로 변화되면서 고향을 떠나 도시로 나갔던
많은 사람들이 어릴 적 고향의 내음만이라도 맛보고 싶어하는 마음에서 산채는 이제 옛날처럼 지긋지긋한 가난했던 때의 구황식품이 아닌 향수 식품으로
다가서고 있는 것이다.
|
|
표) 누룩치(누리대)의 소화력 향상 및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
(1996.산채시험장) |
전분소화력1) |
단백질 소화력2) |
콜레스테롤3) |
α-amylase |
α-amylase
+추출액 1% |
protease |
protease
+추출액 8% |
무처리 |
추 출 액
1mg 첨가 |
100 |
196 |
100 |
409 |
100 |
85 |
|
1) Glucose 생성량 지수 2)Tyrosine 생성량 지수 3)
HMG-CoA reductase 활성도 지수
|
|
다섯째로 산채는 우리 민족의 뿌리이며 혼이 담겨있는 식품이라는 점이다. 우리민족이
쑥과 마늘을 먹고 곰으로부터 인간으로 변신한 웅녀의 몸에서 태어난 단군의 후예라는 것도 그렇지만 예로부터 산채는 우리의 식탁은 물론 조상에게
예를 올리는 제물에 이르기까지 우리 민족과 함께 맥을 이어온 우리의 고유문화 식품인 것이다. 하나의 민족이 이어온 전통과 뿌리는 아무리 그보다
우월한 문화에 의해 도전을 받더라도 쉽게 그 맥을 상실하지 않는다. 이러한 점에서도 다른 민족과 또 다른 우리만의 고유 문화가 일시적으로 서구
문화에 의해 사라질 위기에서 최근 다시 일어나는 것과 같이 산채도 다시 우리에게 다가서고 있다고 보아도 무리는 아닌 것 같다. 여섯
번째는 우리나라가 직면한 시대적 배경이다. U.R로 시작하여 W.T.O로 이어지는 농산물 수입개방에 대응하여 불기 시작한 『신토불이』『우리
농산물 애용』운동은 산채를 가장 인기 있는 우리 농산물로 등장시켰다. 요즈음 수시로 개장되는 지역특산물 판매장에 가보면 어느 지역에서 주최하는
행사에도 산나물이 빠진 판매장이 없는 것이 이를 증명해주는 것이다. 또한 어느 관광지이던간에 관광식품이나 상품으로 산채가 가장 인기가 있는 것도
위에서 살펴본 여러 가지 원인과 시대적 배경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이라 볼 수 있다. |
|
산채재배가 늘어나는 원인
|
다음은 생산공급자인 농가의 측면에서 본 산채의 재배면적 증가원인을 살펴보기로 한다.
공급자인 농민의 측면에서 보면 산채도 상품이다. 상품은 생산자로 하여금 높은 소득을 보장하지 않고서는 존재할 수 없다. 산채는 아직까지는 대부분
재배가 용이하고 병해충에 강해 경영면에서 볼 때 노동력 등 경영비가 적게들어 상대적으로 소득이 높으며 농약을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재배될 수 있는
저공해 농산물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전망이 밝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지역마다 특색 있는 관광식품으로 그리고 개발하기에
따라서는 수출상품으로도 발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다른 사람이 재배하지 않는 비교적 소득이 높은 새로운 작목으로서
산채의 선택이 늘어가고 있는 점이 재배가 확산되고 있는 요인중의 하나가 되고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