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물소개





작물소개 > 잎과줄기이용산채



제목  모시대
등록자  관리자 등록일  2007-12-28 01:29:37 조회수  508

  제목 없음

 

  과  명 : 초롱꽃과
  학  명 :
Adenophora remotiflora MIQ.
  영  명 : Ladybell
    생약명 : 薺尼

 

  성 상
 
 초롱꽃과의 다년초 쌍자엽 식물이며 유라시아, 중국, 한국, 일본 등지의 산록 및 산복의 습한 곳에 분포한다. 영영므로 ladybell이라는 부드러운 이름으로 불리우며 한명으로는 행엽채, 행엽사삼, 또는 지삼이라고도 불리우며 뿌리는 한방에서(薺尼)라 한다. 지방에 따라서는 모싯대, 모시나물, 모시대, 게로기 등의 별명이 있기도 하다.
 모시대는 줄기가 곧게 자라며 꺽으면 유즙이 나오나 독은 없다. 어린싹은 대궁 속이 비어 있고 담갈색을 띠는 것이 많다. 높이 40~100cm까지 자라며 뿌리는 굵고 육질이다. 잎은 난형, 심장형 또는 넓은 피침형으로 호생하며 길이 5~20cm, 너비 3~8cm로서 끝이 뾰족뾰족하고 밑부분이 심장저이며 가장자리에 예리한 거치가 있다. 아래 잎은 긴엽병을 갖는 것이 많다. 종 모양의 보라색 꽃이 7~8월에 줄기 끝에서 아래로 향하는 원추화서로 피고 5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으며 암술머리가 3개로 갈라진다. 꽃이 지면 타원형의 삭과가 맺힌다.

 
주요 성분 및 용도
 모시대의 영양소성분을 보면 고른
영양함량을 보이며 특히 울릉도 모시대는 단백질, 당질, 회분, 인등의 함량이 특히 높다. 그밖에 모시대는 푸마르산, 구연산, 말산 등의 유기산이 검출되며 사포닌과 이눌린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거담, 해독(종기, 벌레 물린데나 뱀에 물린데), 강장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한방에서는 약용으로 쓰인다. 연한 경엽과 뿌리는 맛이 순하고 담백하여 예로부터 인기있는 산채로 많이 식용되었으며 일부에서는 재배, 생산되고 있다. 어린 잎과 줄기는 생으로 무쳐 먹거나 국거리, 나물무침, 기름볶음, 샐러드, 묵나물 등으로 이용한다. 잎, 줄기, 꽃으로 튀김을 만들기도 하며 뿌리는 구이, 생채무침, 볶음, 장아찌 등으로 조리한다.

<표> 모시대의 일반식품성분('96, 한국식품성분표)     (100g당)

열량(Kcal)

수분(%)

단백질(g)

지질(g)

당질(g)

섬유질(g)

칼슘(mg)

회분(g)

인(mg)

철(mg)

비타민(mg)

A

B

C

25

91.2

3.2

8.5

1.9

2.0

59

1.2

51

5.2

425

0.05

46

  재배현황
  모시대의재배면적은 전국적으로 '98년 5.1ha 정도로 재배면적 순위 23위 매우 적은 면적인데 이는 아직까지 생식용으로 잘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현재 3개 시도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재배형태는 거의 시설재배이다. 그러나 소득은 비교적 높아 10a당 150~200만원선으로 자연산에만 의존하지 말고 재배에 알맞는 포장이 있는 농가라면 샐러드용으로 본격적인 재배를 시도해 볼 만한 새로운 소득작목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시설물을 설치하여 자연산에 비해 빨리 출하시키면서 품질이 좋은 상품을 공급하는 체계를 갖춘다면 재배가 까다롭지 않고 인력도 많이 들지 않아 권장해 보고 싶은 작목이다.
 

<표> 모시대의 재배현황  ('98 농촌진흥청)

노 지

비가림

시 설

농가수(호)

면적(ha)

농가수

면적

농가수

면적

농가수

면적

9

5.1

2

0.3

1

0.1

6

4.7(호)

 

  재배적지
 재배에 적합한 지형은 북서 또는 북동향의 경사 10~45°인 산복이나 계곡에 토심이 깊고 약간 습하며 그늘진 사질양토(비음도 65~85)에서 잘 자란다. 토질은 보수력이 있고 비옥한 유기질이 많은 곳이 좋다.

  번 식
 번식은 9월에 채종하여 모래가 섞인 포장에 직파하거나 이듬해 봄 4월에 파종한다. 연한 순을 수확하기 위해서는 밀파가 바람직하다.

  재배법
 유기질이 많은 토양에서 잘 자라므로 퇴비나 계분을 기비로 충분히 시용한 다음 파종한다. 파종할 두둑은 75cm 폭에 높이 15cm로 하고 종자의 3~4배량의 톱밥이나 세토와 잘 혼합하여 흩어뿌림한 후 다지기를 하고 짚을 덮어 준 다음 물을 흠뻑 뿌려준다. 2년차부터 가을에 말라죽은 지상부로 피복하면 월동시 동해예방과 유기물 공급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5,6월에 줄기가 연할 때 나물로 수확하며 꽃대가 나오기전까지 연한 것을 수확할 수 잇다.
 포장에 뿌리를 이식할 경우에는 ㎡당 36주씩 정식하는 것이 좋다. 뿌리를 목적으로 재배하는 경우에는 늦가을이나 이른 봄 싹트기 전에 10~15cm 간격으로 심으며 수확은 가을에 줄기가 마른 뒤부터 봄에 싹이 트기 전까지 수확할 수 있다.

 

관련사진

어린 잎

잎과 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