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물소개





작물소개 > 잎과줄기이용산채



제목  취나물류
등록자  관리자 등록일  2007-12-28 01:29:37 조회수  450

  제목 없음

취나물의 종류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취나물은 6속 60여종이 있는 것으로 분류되고 있으나 산채로 주로 이용이 되는 것은 곰취, 참취, 개미취, 미역취, 가얌취, 수리취, 각시취 등 10여종에 불과하다.

 

  취나물의 특성

   1) 생리형태적 특성

  다년생식물로 주로 국화과에 속하며 영양생장기에는 줄기가 거의 없고 잎자루와 잎만이 크며 따라서 이부위를 나물로 이용한다. 그러나 개화기에는 줄기가 급신장이 되고 꽃대가 나와 꽃을 피우며 대부분  종자를 맺는 특성이 있다.

   2) 유전적 특성

  주요 취나물의 염색체수와 전기영동법에 의해 단백질을 비교 한 결과 많은 차이를 보여 이용상으로는 크게 취나물로 분류하기는 하나 유전적 특성은 차이가 큰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표2-1> 주요 취나물의 염색체수및 단백질 밴드 비교

   ('93.산채시험장)

구     분

참  취

곰  취

수 리 취

청 옥 취

염색체수    (2n)

단백질밴드수(개)

18

11

48

17

20

20

26

15

 

  3) 식품적 특성

  취나물은 영영가면에서도 상당히 우수한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식품 성분 중  단백질, 탄수화물, 회분, 비타민 등이 풍부하다.

 

  <표2-2> 참취,곰취와 배추와의 영양가 비교           (100g당)

구  분

단백질

지질

탄수화물

회분

칼슘

비타민

 

g

g

g

g

mg

A(IU)

C(mg)

참  취

곰  취

배  추

2.3

4.6

1.3

0.1

0.7

0.2

8.5

5.4

3.4

1.5

1.6

0.5

  8

107

 70

3504

1941

 255

 4

20

25

 

또한 혈액의 생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엽록소와 변비를 예방해준다.

 

<표2-3> 주요 산채류의 엽록소 및 식이섬유 함량    ('93. 산채시험장)  

구분

참나물

곰취

고들빼기

두릅

냉이

돌나물

고사리

엽 록  소
(mg/100g)

식이 섬유
(g/100g)

290


35.8
 

222


46.7
 

234


42.0
 

124


42.5
 

262


10.8
 

54


17.7
 

35


45.8
 

 

 식이섬유가 풍부할 뿐만 아니라 현대인에게 공포의 대상인 암에도 효과가
있는 것은 물론 혈소판 응집 억제효과도 큰 것으로 밝혀 지는 등 기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최근 연구결과 속속 밝혀지고 있다.

 

<표2-3> 주요 산채류의 엽록소 및 식이섬유 함량 비교

 ('93. 평창산채시험장)

구분

참나물

곰취

고들빼기

두릅

냉이

돌나물

고사리

엽 록  소
(mg/100g)

식이 섬유
(g/100g)

290


35.8
 

222


46.7
 

234


42.0
 

124


42.5
 

262


10.8
 

54


17.7
 

35


45.8
 

 

   4) 재배특성

   취나물은 산채 중 번식이 용이하고 다른 재배 기술도 비교적 어렵지 않은 편이며 병충해도 적어 재배가 용이하다.  특히 재배에 소요되는 노동력이 적어 경영비가 적게드는 등 재배면에서도 다른 작물이나 산채에 비해 유리하다.

 

<표2-4> 주요산채의 Mitomycin C에 대한 항돌연변이 원성

 <표2-5> 주요산채의 혈소판 응집
억제 효과

('90. 徐 等)

('98.尹 等)

산채명

β - Galatosidase

활성도(Unit)

지  수

 
취 나 물

미 나 리
고 사 리
도 라 지
MMC(對比)
DMSO( " )


136
190
267
288
155
330
 40


 41
 56
 81
 87
 47
100
 12

산채명

Modifiered smear

DPPH

ADP

collagen

참 나 물
냉    이
고 사 리
곰    취
사 철 쑥
고려엉겅퀴
개 두 릅

+++
+++
++
-
-
+
+

+++
+++
++
±
±
±
+

++
+++
+++
+++
+++
+++
+++

 

 ADP:-:없음.±:약간있음,+:중++∼:다
 DPPH:-:0,+:∼20,++:2-∼80,+++:80∼